티스토리 뷰

1

라인확장과 상표확장의 사례

CYR 2020. 4. 29. 22:34

1. 라인확장사례 3가지 이상

 라인확장이란 기존상품을 개선한 신상품에 기존의 상표를 적용하는브랜드 확장 유형입니다.

상표확장과 다른점은 동일제품 내에서 브랜드를 확장하는 것이 다릅니다.

사례 첫번째는 빙그레의 바나나우유 제품의 라인확장 사례가 있습니다.

빙그레는 바나나맛우유라는 상표로 상표명 그대로 바나나맛우유를 판매하여 왔습니다.

바나나맛우유는 1974 출시된 이후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는 장수 제품입니다.

빙그레에서는 최근 바나나맛우유 메론맛을 출시하였었습니다.

기존의 바나나맛우유에서 벗어나 멜론의 달콤하고 상큼한 향을 더하여 제품을 내놓았었는데요.

그로인해 사람들은 기존제품에 벗어난 신선함에 관심을 가졌고, 바나나맛우유라는 상표를 다시한번 사람들의 머릿속에 기억시키는 라인확장 사례가 있었습니다.

이렇게 식음료에서 라인확장이 자주일어나는데 , 식음료의 경우 상품이 장수 제품이 많기 때문에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기존제품에 신선함과 기능적인부분 등을 더하여 신제품을 동일한 상표로 내놓는 라인확장의 사례가 많습니다.

하나의 식음료 라인확장 제품 사례중 하나는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이 있습니다.

장수제품은 아니지만 매운맛라면으로 젊은 층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후속제품들이 연달아 출시 했었는데요.

보통 라면의 경우 사람들은 그냥 먹지 않고 다른제품과 섞어서 먹기도 하고, 다른조리법으로 끓여먹기도 하는데 그런 의견을 반영해서였을까요. 짜장불닭볶음면 출시하기도하고 , 불닭볶음면의 매운맛을 중화하면서 크림의 맛을 까르보불닭을 출시하기도하였었습니다.

특히 까르보불닭은 불닭볶음면의 매운맛때문에 먹는 소비자에게 진입장벽을 낮추어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제품이 되었습니다.

라인확장에는 식음료제품군 뿐만아니라 다양한 브랜드에서 시행하고 있는데, 라인확장의 대표적인 전략 하나는 펫네임 전략이 있습니다.

세번째 사례로 펫네임에 대하여 말하여 볼건데, 펫네임전략이란 브랜드의 기능과 아이덴디티를 적절하게 표현하고 있는 브랜드네임을 중심으로 기존의 제품을 꾸준히 보완하여 제품에 변화를 주면서 브랜드 네임의 뒤로 펫네임을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삼성의 갤럭시 시리즈,애플의 아이폰시리즈, 비엠더블유 자동차회사의 3,5,7 숫자를 활용한 펫네임 적략이 있습니다.

 

라인확장은 적은 마케팅 비용으로 매출과 수익성 모두 손쉽게 높일 있고, 제품의 타겟이 아닌 소비자층을 타겟팅 함으로써 소비자층을 확대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무분별한 라인확장은 브랜드 이미지가 약해지는 희석효과나, 신제품이 기존제품 시장에 침범하는 자기잠심효과를 유발하는 역효과를 일으킬 수도 있기때문에 주의해야합니다.

 

2. 상표확장사례 

상표확장이란 높은 브랜드 가치를 갖는 브랜드의 이름을 다른 제품군에 속하는 신제품의 이름에 확장하여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상표확장을 하기위해서는 기존의 브랜드가 시장에서 확고한 위치를 확보하고 있어야하며, 기존제품의 속성이나 컨셉트가 신상품과 연관성이 없으면 안됩니다.

전략은 신제품을 출시시킬때 위험을 감소 시키고 소비자들에게 신제품을 쉽게 인지시킬 있어며, 유통 촉진 비용또한 절감 있다는 장점이있습니다.

상표확장사례의 첫번째는 동대문의 신화로 알려진스타일난다라는 브랜드가 있습니다.

브랜드는 동대문에서 도매의류를 온라인으로 판매하기 시작하면서 의류 판매로 10-20 연령층에게 사랑받아온 브랜드 하나입니다. 

스타일난다는 조금 다른 상표확장의 사례로 같은 이름은 사용하지 않았으나

메이크업 제품으로 브랜드를 확장하여 옷을 판매하던 쇼핑몰에서 3씨이라는 다른브랜드명의 메이크업 브랜드를 론칭해 메이크업제품을 판매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판매는 스타일난다 브랜드 사이트에서 판매였으며, 같은 10-20 연려층을 공략함으로써 기존에 있던 고객들을 잡으며 브랜드를 확장하였고, 케이뷰티의 선풍적인 인기를 등에 엎고 3씨이는 한국 뿐만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었고 이로 인해 스타일난다의 의류상품군의 매출 또한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2018 세계적인 화장품브랜드를 다수 보유한 프랑스의 로레알 그룹은 6000억대에 스타일난다를  인수하였습니다.

 이는 아주 성공적이고 색다른 브랜드 확장케이스 라고 있습니다.

 

상표확장에는 기존 브랜드가 시장에서 가지고 있는 컨셉트와 연관이 없으면 실패하는 사례가 있는데 두번째 사례는 콜게이트의 스파게티 사례 입니다.

콜게이트는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인지도를 구축한 치약브랜드로 콜게이트는 성공적으로 치약뿐만 아니라 치실, 전동치솔, 치약미백제 등으로 브랜드와 상품을 확장해 왔습니다.

이어 콜게이트는 새로운 상품으로 전자레인지용 스파게티를 출시하였는데, 브랜드의 인지도를 사용하기 위하여 똑같이 콜게이트라는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하지만  콜게이트가 가진 치약의 청량감, 상쾌한 느낌의 브랜드 이미지와 스파게티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소비자들에게 외면당했던 사례가 있습니다.

이처럼 상표를 확장할떄는 소비자가 느끼는 브랜드에 대한 경험, 연관성등을 고려하여 전략적인 상품기획이 필요하다는 것을 사례로 있습니다.

 

또한 상표확장의 사례 하나로는 서비스에서 제품군으로 변형한 상표확장 사례가 있습니다.

세번째 사례는어헤즈맨이라는 브랜드의 사례입니다.

어헤즈맨은 처음 미용실의 상호였습니다. 어헤즈맨은 남성전문,탈모전문 미용실로 , 히든펌이라는 시술로 탈모로인한 모발부족을 교묘히 가려주어  탈모고민이 있는 남성들에게 주로 서비스를 해오던 미용실 하나였습니다.

어헤즈맨은 기존의 미용실서비스에서 제품을 출시하여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등의 제품을 내놓았으며 또한 남성을위한, 탈모에 좋은 제품으로 홍보를 하였고 예능인 이상민을 모델로 기용해이상민샴푸라는 이름으로 괜찮은 판매량을 기록하였고, 온라인판매 뿐만아니라 올리브영, 롭스 오프라인에서도 판매되고 있습니다.

기존의 어헤즈맨이 가지고 있던 탈모, 남성전문 이라는 미용실의 브랜드를 적절히 이용한 브랜드 확장으로, 성공적인 브랜딩을 사례라고 생각하며, 제품에서 제품으로 브랜드를 확장한 사례가 아닌 

미용이라는 서비스에서 제품으로 브랜드를 확장한 사례중 하나라고 있습니다.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자 관여도  (0) 2020.04.29
고전음악의 특성과 베토벤 <운명> 감상  (0) 2020.04.29
댓글